바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 가단조 BWV 1041

1717년에서 1723년 사이에 쾨텐 궁정악장 시절에 작곡되었습니다.
'가단조'의 협주곡은 일반적으로 '제1번'으로 알려진 것으로, 비발디의 같은 조의 협주곡과 그 주제가 닮았을 뿐 아니라 각 악장의 구조도 유사합니다. 그리고 전곡에서 받는 느낌도 이탈리아풍의 감미로운 것이지만, 복음악의 교치를 다한 수법을 도처에서 볼 수 있어 바흐의 엄격함을 느끼게 되지요. 바흐는 후에(라이프치히 시대) 이 곡을 쳄발로 협주곡으로 편곡하였습니다.(BWV 1058)

바흐는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을 2곡 남겼습니다.
그에게 안락하고 평화로운 생활을 열어 준 레오폴트 공을 위해 그의 기호에 맞춘 기악곡을 작곡하였다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감미로운《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A단조 BWV1041》입니다.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곡이 아니어서 어쩌면 생소하실지는 모르지만 겨울을 재촉하는 늦은 가을 오후, 비스듬히 기운 햇살 스며드는 인적 드문 오솔길 한 발 한 발, 쌓인 낙엽을 곱게 밟고 걸으면서 감상하면 정말 잘 어울릴 것 같은 음악이랍니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A단조 BWV1041》은 그의 '쾨텐 시대'에 작곡한 것으로, 이탈리아를 여행한 이후 남유럽풍의 기악곡을 선호하는 레오폴트 공에 따라 비발디의 바이올린 작품 중 같은 A단조 협주곡과 그 주제 및 악장 구조를 비슷하게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런 때문인지 전곡의 느낌이 이탈리아풍으로 감미롭고 세밀한 짜임새로 만들어 졌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곡은 또 후에(라이프치히 시대) 바흐 자신이 <쳄발로 협주곡>(BWV 1058)으로 편곡하기도 하였습니다.

제1악장 알레그로 가단조 2/4박자
이 악장에는 템포의 지시가 없으나 통례로 알레그로로 연주 되고 있습니다. 형식적으로는 비발디의 협주곡과 마찬가지로 '리토르넬로형식', 즉 투티 부분과 독주부분이 교대로 연주되는 형식을 답습하고있습니다.

제2악장 안단테 다장조 4/4박자.
안단테로 되풀이 되는 저음의 음형 위에 독주바이올린이 엄숙하면서도 아름다운 선율을 노래합니다. 감미로운 이탈리아풍의 낙천적인 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바흐의 엄격함이 나타나는 악장이지요. 이 악장에서는 이탈리아 작곡가의 낙천적인 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바하의 엄격한 예술이 제시됩니다.
저음의 엄숙한 주제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바소오스티나토를 이루어 똑같이 되풀이되며, 이 인상적인 악구에 대하여 다른 현악기군은 단속하는 8분음표로 선율을 들려준다.마지막은 바이올린의 아름다운 3잇단음표의 악구로서 인상적으로 끝을 맺습니다.

제3악장 알레그로아사이 가단조 9/8박자.
이탈리아의 쿠랑트 무곡을 연상케 하는 경쾌한 이 악장은 제1악장과 같은 리토르넬로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투티는 각 악기의 푸가토풍의 진행에 의한 것으로, 바하의 뛰어난 작곡 기법이 충분히 나타나 있습니다. 독주바이올린은 이 리듬을 타고 나타나는 데, 약간 엄격한 주제입니다.
자료출처 : 참마음 참이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