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위 모음곡 - 오작교의 음악감상실 - |
00:0000:00
시나위(남도의 巫樂)
신방곡(神房曲)·심방곡(心方曲)이라고도 한다.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한 기악곡으로서 특히 호남지방에서 많이 부른다. 어원은, 신라 때 노래를 뜻하던 사뇌(詞腦)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며, 외래 음악인 당악(唐樂), 즉 정악(正樂)에 대하여 토속음악인 향악(鄕樂)으로 해석하여 당악보다 격이 떨어지는 음악의 일반 명칭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는 설도 있다. 심방곡은 당초 무당의 음악이라는 뜻으로 옛 문헌에는 신방곡으로도 나오며,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의 기악곡이라는 의미는 아니었다. 이처럼 시나위의 역사적 전개 과정은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무속음악에서 영혼을 달래는 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옛날에는 삼현육각 편성으로 시나위를 연주하였으나 지금은 가야금·거문고·해금 등의 현악기가 함께 연주한다. 연주 형태는 무당이 육자배기토리로 된 무가를 부르면 모든 악기는 저마다 허튼가락을 무가의 대선율(對旋律)로 연주한다. 이 때 무가의 선율과는 다른 선율을 연주함으로써 다성적 효과를 나타낸다. 이같은 선율진행과 장단은 연주자들의 현장 호흡으로 맞추어지는 즉흥음악이므로 고도의 음악성과 연주기술을 요한다.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은 무의식이 아닌 민속음악에도 쓰이는데 이 경우도 시나위라고 부른다. 시나위는 조선 후기에 산조·판소리·잡가 등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판소리에는 시나위의 더늠이 간혹 보인다. 최근에는 일반인에 의한 시나위 연주는 거의 없고, 다만 살풀이춤의 반주나 순음악의 합주로 연주되고 있으며, 장단조직은 산조(散調)와 같다. |